▣컴퓨터 활용팁
한글 문서의 표를 엑셀로 변환하기
곰탱이it
2009. 7. 14. 23:14
반응형
한글 문서의 표를 엑셀로 변환하기
아래한글에서 지원하는 “표를 문자열로”라는 메뉴를 이용합니다.
① 커서를 한글문서의 표바깥쪽에 위치시킵니다.
② Shift + →(오른쪽 화살표키)를 눌러 표를 블록으로 지정합니다
(흔히 아래한글에서는 기능키 F3과 F4를 이용하여 줄블록과 칸블록을 지정합니다
만, 거의 대부분의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에서 Shif키가 블록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
키입니다. 아래한글의 최신 버전 역시 Shift키로 블록을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합
니다)
③ 표메뉴에서 “표를 문자열로”는 메뉴를 선택합니다
④ 분리방법을 지정합니다(디폴트로 되어 있는 탭을 선택하셔도 대체로 무방합니다)
※ 주의 : 표 안의 한 셀에 여러줄이 겹쳐 있을 경우 셀의 크기를 조절하여 한 줄에 모
두 표시될 수 있도록 조정하십시오.
⑤ 한글문서를 텍스트로 저장하여 엑셀에서 불러들임
- 구분기호로 분리됨(선택) - 공백(선택) - 다음 - 마침
아래한글에서 지원하는 “표를 문자열로”라는 메뉴를 이용합니다.
① 커서를 한글문서의 표바깥쪽에 위치시킵니다.
② Shift + →(오른쪽 화살표키)를 눌러 표를 블록으로 지정합니다
(흔히 아래한글에서는 기능키 F3과 F4를 이용하여 줄블록과 칸블록을 지정합니다
만, 거의 대부분의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에서 Shif키가 블록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
키입니다. 아래한글의 최신 버전 역시 Shift키로 블록을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합
니다)
③ 표메뉴에서 “표를 문자열로”는 메뉴를 선택합니다
④ 분리방법을 지정합니다(디폴트로 되어 있는 탭을 선택하셔도 대체로 무방합니다)
※ 주의 : 표 안의 한 셀에 여러줄이 겹쳐 있을 경우 셀의 크기를 조절하여 한 줄에 모
두 표시될 수 있도록 조정하십시오.
⑤ 한글문서를 텍스트로 저장하여 엑셀에서 불러들임
- 구분기호로 분리됨(선택) - 공백(선택) - 다음 - 마침
반응형